728x90
반응형
SMALL
레거시 코드를 보다보면 $(':radio[name]~~~')와 같이 작성된 코드들이 있다. ':'은 어느 경우에 쓰는 건지 문득 궁금하여 찾아보았다.
위의 코드처럼 :radio라고 작성하면 페이지에 있는 모든 radio 버튼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.
사용 예시
1. 모든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고자 할 때
페이지에 있는 모든 라디오 버튼의 값을 가져오거나, 상태를 변경하거나, 특정 동작을 수행할 때
$(':radio').each(function() {
console.log($(this).val());
});
2. 모든 라디오 버튼의 상태를 변경하고자 할 때
모든 라디오 버튼을 비활성화하거나 체크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
$(':radio').prop('disabled', true);
$(':radio').prop('checked', false);
3. 특정 조건에 맞는 라디오 버튼을 찾고자 할 때
선택된 라디오 버튼만 찾아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:checked와 함께 사용
var selectedRadioValue = $(':radio:checked').val();
console.log(selectedRadioValue);
728x90
반응형
LIST
'웹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Query에서 attr vs prop 차이점과 사용법 정리 (0) | 2024.08.20 |
---|---|
스프링부트 - JPA 연관관계(1) (0) | 2021.05.26 |
스프링부트 사용해보기 -1. 기본 개념들 (0) | 2021.05.24 |
Mybatis란? (0) | 2021.05.24 |
서블릿이란? (0) | 2021.05.20 |